OSI 7 Layer는 밑에서 부터
- 물리 계층(L1)
- 데이터 링크 계층(L2)
- 네트워크 계층(L3)
- 전송 계층(L4)
- 세션 계층(L5)
- 프리젠테이션 계층(L6)
- 어플리케이션 계층(L7)
OSI 7 Layer 중 L5 이상은 유저 모드 어플리케이션, 즉 프로세스로 설명된다(프로그램의 특징에 해당)
그래서
TCP는 전송 계층,
IP는 네트워크 계층,
Driver영역, NIC(Network Interface Card)의 일부분은 데이터 링크 계층,
NIC의 대부분은 물리 계층에 속한다
그리고 이를 식별하는 식별자들이 있는데
MAC 주소는 NIC를 식별한다
IP주소는 Internet을 사용하는 컴퓨터 즉 호스트를 식별한다(L3에 해당)
Port번호는 프로세스 or L2 인터페이스 or 네트워크 서비스를 식별한다
'CS 공부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er mode와 Kernel mode (0) | 2023.04.13 |
---|---|
네트워크 데이터 단위 정리 (0) | 202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