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k 문
그림 1에서 break문이 없었다면 출력 순서는 1,2,3,4 가 되지만 break문을 만나면 (3) 실행을 중지하고 (4)를 출력하여 1,2,4가 출력되게 된다.
break는 보통 조건문과 많이 결합된다고 하는데 그림 2에서 보는 것처럼 if문안에 break가 들어있고 for문이 결합되어 있으면 break는 가장 가까운 for문을 종료한다. 즉 여기서는 (4)를 종료하고 (5)로 넘어간다.
*Continue 문
Continue 문은 break 문과 다르게 이전 실행 코드로 돌아가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출력 결과를 보면 (3)을 실행하지 않고 다시 for 문으로 돌아가 (2)를 출력한다. Continue 문 역시 조건문과 많이 결합된다고 한다.
'개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정리>도메인 주도 설계로 시작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설계 (1) (0) | 2023.09.21 |
---|---|
#5 JAVA Getter, Setter 메소드 (0) | 2022.08.30 |
#4 JAVA Overloading (0) | 2022.08.23 |
#2 JAVA 변수와 데이터 타입(2). char, boolean, string (0) | 2022.08.18 |
#1 JAVA 변수와 데이터 타입(1). 정수, 실수형 타입 (0) | 202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