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306 TIL
·
개발 공부/TIL(오늘 내가 배운 것)
오늘 내가 배운 것 😀 node.js - 노드 내장 객체 - 노드로 서버 띄우기 - npm - express - 미들웨어 오늘 이것을 왜 공부했는가 😎 node.js를 일단 꾸준히 공부하려고 한다. 적어도 이게 어떻게 요청을 받아서 응답하는지는 알아야 될꺼 같다 express와 spring은 완전히 다르지만 그래도 각각 Java와 Node.js의 웹 개발을 편하게 해주는 것은 비슷한거 같다. 오늘 내가 느낀 점 😊 직접 코딩하면서 배우는게 훨씬 재밌다. 이론적인 부분만 들으면 집중도 안되고 무슨 얘기를 하는지 모르겠다. 일단은 node.js를 우선적으로 공부하면서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졸릴 때 젠킨스나 aws 블로그 정리를 조금씩 해봐야겠다. 아 실무에서 일하고 싶다!
230305 TIL
·
개발 공부/TIL(오늘 내가 배운 것)
오늘 내가 배운 것 😀 node.js - 널 병합, 옵셔널 체이닝(자바스크립트 문법) - 모듈 시스템 사용 Redis 맛보기 오늘 이것을 왜 공부했는가 😎 가고싶은 회사가 node.js를 쓰니까 사용하는 언어에 대해서 확실히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Redis는 백엔드 로드맵을 보다가 필수 라길래 관련 영상 몇개를 봤는데 아직은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잘 모르겠다. 이것도 Docker 처럼 이해될 날이 있겠지. 오늘 내가 느낀 점 😊 후...주말이라 너무 풀어져 있었다. 공부를 거의 못했다. 그래도 매일 피드백처럼 TIL을 작성하려고 했던 건데 시작한지 얼마나 됐다고 이렇게 풀어졌나 싶다. 내일부터 또 한 주 시작이다 파이팅!
230302 TIL
·
개발 공부/TIL(오늘 내가 배운 것)
오늘 내가 배운 것 😀 https://www.youtube.com/watch?v=HbKCxBFT2wk&list=PLRx0vPvlEmdChjc6N3JnLaX-Gihh5pHcx aws 리눅스 기반 서버에 docker 설치 및 사용 방법 전체 재생 목록 공부 node.js 호출 스택 공부 오늘 이것을 왜 공부했는가 😎 AWS 공부를 어느 정도 마치니 이제서야 이 내용들이 이해가 가서 공부했다. docker를 그냥 쓰면 지정된 IP 없이 그냥 로컬에서만 쓸 수 있을 거 같아서 배포하기 위해서는 AWS에 올려서 사용할 꺼 같아서 공부했다. 이제 어느 정도 docker와 aws에 대해 익숙해지고 있는 거 같다. 오늘 내가 느낀 점 😊 3년 전 영상이라 코드를 따라 치다보니 오류가 너무 많았다. 그래서 공부하기가 좀..
230228 TIL
·
개발 공부/TIL(오늘 내가 배운 것)
오늘 내가 배운 것 😀 https://www.youtube.com/@AWSClassroom AWS 기초 강좌 IAM EC2 (공부중), EBS https://www.youtube.com/watch?v=xkpcNolC270 TypeScript 기초 문법 공부 인프런 제로초 node.js 공부 오늘 나는 왜 이걸 공부했는가 😎 얼마 전 배운 Docker를 AWS에 연동해서 하는 법을 배우고 싶어서 유튜브 강의를 찾아봤는데 AWS 기초 지식이 없어 너무 어려웠다. 그래서 국비교육 할 때 부터 어려웠던 AWS를 한번 이해해 보자는 식으로 AWS 강의를 듣기 시작했다. 이거 다 배우면 CI/CD를 젠킨스 이용해서 해본 다음 Docker 아마존에 올리고 젠킨스 까지 해서 공부할 거다 그리고 node.js랑 type..
빌드와 배포
·
CS 공부
컴파일 : 작성한 소스 코드를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 링크 : 여러개로 분리된 소스 코드들을 컴파일한 결과물들에서 최종 실행 가능한 파일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부분을 찾아서 연결해주는 작업 빌드 :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산출물로 만드는 일련의 과정(jar, war) 빌드 도구 : gradle, maven 배포 : 빌드가 완성된 실행 가능한 파일을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환경에 배치하면 배포가 완료된 것 무중단 배포 : 두대 이상의 서버를 서비스해야한다 다운 타임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실제 서비스 중인 서버와 새롭게 배포한 서버가 동시에 존재해야 한다 비용을 줄이려면 배포할 때만 새롭게 서버를 띄우고 배포가 완료된 후에 기존 서버는 죽이면 된다
Docker란?
·
CS 공부/클라우드
Docker의 정의 및 필요한 이유 Docker는 리눅스 운영체제의 기술인데 쉽게 말해 어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하는 툴이다. 예를 들어 로컬에서 돌아가는 애플리케이션이 내가 배포하려는 서버나 다른 곳에서는 여러가지의 이유로 안 돌아갈 수 있다. 그 이유 중에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환경이 각각 달라서 그럴 수 있다. Docker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로컬에서 돌아가는 환경을 Dockerfile이라는 곳에 저장해두고 파일을 container에 올려 로컬 환경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내가 만든 이미지는 Registry(ex. DockerHub)에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 시 다운 받아 사용할 수 있다 Docker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크게 1. Dockerfile 생성 2. 이미지 생성(빌드)..
‎‏개발자에게 필요한 필수 Linux 명령어
·
CS 공부
* 영상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EL6AQl-e3AQ Unix에는 Bourne Shell Bash fish zsh 와 같은 많은 쉘들이 있다 Unix shell을 공부하면 Linux, window, mac os 다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window에서 이런 Linux 기반 쉘은 window 10 이후부터 사용가능하고 이것저것 깔아야 할게 많다 그래서 window에는 native shell이 존재하는데 그것이 바로 PowerShell이다 윈도우에 있는 cmd 보다 더 운영체제에 있는 모든 서비스에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권장한다 유닉스 쉘은 텍스트 기반, PowerShell은 객체 기반이다 개발자라면 command shell을 잘 사용해야한다 man manual ..
클라우드란?
·
CS 공부/클라우드
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 할 수 있는 서버와 이러한 서버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전 세계 데이터 센터에서 위치하는데 사용자와 기업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면 직접 물리적 서버를 관리하거나 자체 서버에서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클라우드를 통해 사용자는 거의 모든 장치에서 동일한 파일과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 할 수 있는데 컴퓨팅과 저장이 사용자 장치에서 로컬로 실행되지 않고 데이터센터의 서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기업의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전환하면 자체 서버를 더 이상 업데이트 하고 유지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이 절감된다. 클라우드 업체가 저렴한 가격에 대신 처리하기 때문에 소규모 기업에 특히 효과적이며 기업은 또한 클라우드를통..